본문 바로가기

수의학

(20)
Aminoglycosides (아미노배당체)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계 항생제(아미노배당체)는 단백질 합성을 저해해 살균 작용을 하는 항생제이다. 호기성의 그람 음성 간균 (aerobic gram-negative bacilli)에 의한 감염증에 주로 사용된다. 1. 작용 기전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계 항생제는 감수성 균의 외막에 있는 porin 통로를 통해 확산된다. 항생 물질은 세포 내에서 30S 리보솜(30S ribosomal subunit)에 붙어서 기능적인 리보솜 장치(functional ribosomal apparatus)의 결합을 방해하거나, 유전자코드를 제대로 읽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정균성이지만, 아미노배당체(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는 살균성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특성을 가진다.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10. 적혈구의 특성 [1] 적혈구 산소나 이산화탄소의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구로, 모든 척추동물에서 볼 수 있습니다. 포유류의 성숙 적혈구는 핵이 없고 양쪽이 오목한 원반형입니다. 함몰부위와 깊이는 동물의 종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개의 적혈구는 양쪽이 분명한 오목한 원반형이며, 말과 고양이는 함몰이 얕고, 돼지와 반추류는 편평한 원반형 적혈구입니다. 낙타, 기린, 라마 등의 적혈구는 타원형입니다. 조류, 개구리 등의 적혈구도 타원형인데 조류와 개구리의 적혈구에는 핵이 있습니다. 적혈구 크기와 수 도말표본에서 포유류의 적혈구를 크기를 비교해보면 개의 적혈구가 제일 큽니다. 조류의 적혈구는 포유류보다 큽니다. 적혈구의 수는 가축의 종류는 물론 같은 종류 중에서도 연령, 성별, 운동, 영양상태, 비유, 임신, 흥분, 성주기,..
9. 혈액의 일반적인 특성 1. 혈액의 구분 혈액은 세포성분인 혈구(blood corpuscle)와 액체성분인 혈장(plasma)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혈구는 적혈구(red blood cell, erythrocyte)와 백혈구(white blood cell, leukocyte), 그리고 혈소판(platelet, thrombocyte)로 나누어 집니다.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오면 액체의 성질을 잃고 응고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고덩어리를 혈병(clot)이라고 합니다. Clot은 혈장 중의 섬유소원(피브리노겐)이 섬유소(피브린)으로 전환되어 혈구와 엉켜진 것입니다. 이 clot을 방치해 두면 혈청(serum)이라는 투명한 액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청은 혈액이 응고한 후의 액체 부분이며, 혈장은 응고가 일어나기 전의 액체 부분..
8. 이차 전령의 신호 전달 체계 이전 포스팅에서 G 단백질의 종류에는 이온 통로에 영향을 미치는 G 단백질과 자극성 G 단백질 (stimulatory G protein), 그리고 억제성 G 단백질 (inhibitory G protein)이 있다고 했습니다. 이 중 억제성과 자극성 G 단백질은 이차전령의 생산과 관계있는 효소인 G 단백질 조절 효소(G-protein-regulated enzyme)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합니다. 일차 전령이 수용체와 결합하면 활성화된 G 단백질은 α 소단위를 유리합니다. 유리된 α 소단위는 막을 통해 이동하여 G 단백질 조절 효소와 결합하여 효소를 화성화시킵니다. 활성화된 효소는 세포질에서 이처전령의 형성을 촉진합니다. 이차전령은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GMP(c..
7. 화학적 전령(리간드, ligand)과 수용체를 통한 신호 전달 기전 (mechanism) 화학전달물질들은 혈액 순환을 통해 체내의 거의 모든 세포로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세포가 이 화학물질에 반응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화학전달물질이 결합하는 수용체 단백질에 의해 특정한 세포만 분비된 화학물질과 반응할 수 있게 됩니다. 모든 신호 경로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① 일차 전령(first messenger)이라 불리는 신호 리간드는 그것의 수용체와 결합합니다. ②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세포반응을 결정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포내 효과기(effectors)를 변화시킵니다. ③ 많은 효과기는 ATP로부터 단백질로 인산 그룹을 이동시키는 효소인 단백질 인산화효소(kinase)입니다. 단백질 인산화로 인해 단백질 구조가 변화되면 세포 반응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인산화로..
6. 화학적 전령(리간드, ligand)의 종류 화학적 전령(리간드 또는 매개체)은 기능 또는 화학구조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능에 따른 분류 기능에 따라 주변 분비 물질, 자가 분비 물질, 사이토카인(cytokine),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호르몬, 신경호르몬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주변분비 (paracrine) 이웃하고 있는 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화학물질입니다. 주변분비물질은 단순확산에 의해 표적세포에 도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적세포는 세포외액으로 분비되는 주변분비물질과 매우 가까워야 합니다. 주변분비물질의 대표적인 예로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히스타민이 있습니다. 알러지 반응 시 히스타민은 콧물과 눈물이 나오게 하며, 눈을 충혈시킵니다. 세균 감염이나 조직 손상 시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분비되면 발적, ..
5. 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 신체 기능이 원활하게 돌아가려면 세포끼리 신호전달이 필요합니다. 감염 시에는 몸을 방어하기 위해 혈액으로 다른 세포들 사이로 신호 전달이 필요하며, 어린 동물의 성장 과정도 신호 전달 과정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동물 체내의 세포들은 다른 세포에 신화를 전달할 때 몇 가지 단계만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은 틈새이음(gap junction)에 의한 전기적 신호전달 또는 화학 매개체와 그 매개체를 인지하는 수용체 반응으로 이루어집니다. 1. 세포 사이의 연결 조직 여러 세포가 모여 있는 조직에서 세포들은 서로 부착되어 있는데, 그 사이의 좁은 간격에는 세포 외액(ECF, Extra cell fluid)이 차 있습니다. 상피세포, 평활근, 심장근, 중추 신경계의 세포들은 세포막과 세포막 사이..
개의 전염성 기관기관지염 (Canine Infectious Tracheobronchitis) - "켄넬 코프 Kennel cough" 1. 켄넬 코프(Kennel cough)란? 켄넬 코프는 강아지 예방 접종 시에 많이 들어봤을 듯 합니다. 정확한 질병명은 개 전염성 기관기관지염, 혹은 개 전염성 복합 호흡기 질환(Canine infectious respiratory disease complex, CIRDC)라고 합니다. 강아지에서 아주 잘 나타나는 편이며 공기 전파가 되므로 전염성이 아주 강한 질환입니다. 켄넬 코프의 원인체는 한 가지 병원소가 아니라 여러 종류의 세균과 바이러스가 복합적인 원인체로 작용합니다. 켄넬 코프의 원인체와 관련 있는 병원체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바이러스 (Virus) Canine adenovirus type 2 Canine Parainfluenza viurs Canine Herpes vir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