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쿠싱증후군은 개에서 아주 흔하게 발생하는 내분비질환 중 하나입니다. 쿠싱증후군은 부신피질기능항진증(Hyperadrenocorticism)이라고도 하는데, 미국의 외과의사 쿠싱이 이 질병을 처음 발견하여 쿠싱증후군이라 이름붙여지게 되었습니다.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말 그대로 부신피질의 기능이 과다하게 항진되어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양이 과다하게 많아져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만성질환으로 다양한 임상증상과 합병증을 나타내며,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부신은 좌우 신장의 위쪽에 붙어있는 작은 기관입니다. 부신은 피질(cortex)과 속질(medulla)로 이루어져 있는데 부신의 피질은 토리층(zona glomerulosa), 다발층(zona fasciculata), 그물층(zona reticularis), 총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세개의 층 중 다발층(zona fasciculata)에서 분비되는 코티솔(cortisol)이라는 스테로이드성 호르몬의 과다분비가 바로 쿠싱증후군의 주된 병인이 됩니다. 이 코티솔은 몸에서 항염증효과, 면역억제효과 외에도 간, 근육, 피부, 뼈, 간 등 몸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이기 때문에 쿠싱증후군의 임상증상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물론, 임상증상이 나타나는 주된 요인은 코티솔의 과다형성으로 인한 것이지만, 부신피질자체의 기능이 항진된 것이기 때문에 부신피질의 다른층에서 분비되는 알도스테론이나 성호르몬들도 따라 과다분비되게 됩니다. 그러므로 전해질이상이나 고혈압, 또는 성호르몬 관련 질병 등의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2. Etiology
쿠싱증후군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알기 전 먼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A,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에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HPAA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그리고 부신의 호르몬 분비가 연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상태일 때는 위의 그림과 같이 스트레스, 저혈당, 추위 등에 의해 시상하부에서 CRH가 분비되면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고 뇌하수체 전엽에서 ACTH가 분비됩니다. ACTH는 부신을 자극해 부신에서 코티솔이 분비됩니다. 만약, 부신피질에서 코티솔이 적정량 이상으로 분비된다면 negative feedback에 의해 ACTH의 분비가 억제되고 자연스럽게 코티솔 분비량도 줄어들게 되어 호르몬을 적정량으로 유지시켜줍니다.
만약 이 negative feedback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뇌하수체에서 ACTH가 계속 분비되거나, 부신자체에서 지속적으로 코티솔이 분비되는 경우 부신피질항진증이 생기게 됩니다.
1) PDH (Pituitary Dependent Hyperadrenocorticism, 뇌하수체의존성)
- 이 경우 뇌하수체에 문제가 생겨 ACTH 분비가 증가해 코티솔 분비량이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2) ADH (Adrenal Dependent Hyperadrenocorticism, 부신피질의존성)
-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경우로 주로 부신의 종양에 의해 코티솔 분비량이 증가합니다.
3) Iatrogenic (의인성)
- 이 경우는 외인성으로 치료를 목적으로 스테로이드 호르몬 장기투여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DH와 ADH를 비교해보면,
PDH의 경우는 ACTH가 과잉분비되서 코티솔이 증가됬음에도 불구하고 negative feedback이 작용하지 못해 ACTH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코티솔도 지속증가하게 됩니다. 양쪽 부신 모두를 자극하기 때문에 양측 부신이 모두 크기가 비대해집니다.
반면 ADH의 경우는 종양이 생긴 부신에서 코티솔 분비가 증가하여, negative feedback 작용으로 인해 ACTH의 분비는 오히려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종양이 생기지 않은 정상부신은 크기가 위축되며, 종양성 부신의 크기는 비대해집니다.
'내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천식 (Feline asthma) (0) | 2019.04.24 |
---|---|
강아지, 기관지협착증(Tracheal Collapse) (0) | 2019.04.21 |
강아지 모낭충증(Demodicosis)이란? (0) | 2019.04.20 |
강아지, 쿠싱증후군 (Cushing's syndrome) - 부신피질기능항진증 [3] Diagnosis (진단) & Treatment (치료) (1) | 2019.04.18 |
강아지, 쿠싱증후군 (Cushing's syndrome) - 부신피질기능항진증 [2] Clinical signs (임상 증상) (1) | 201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