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과학

강아지 모낭충증(Demodicosis)이란?

1. Introduction

모낭충증이란, Demodex라고 하는 기생충이 피부 모낭과 피지선에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생긴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같은말로는 demodectic mange, red mange, follicular mange라고도 합니다.

그럼 이 Demodex라고 하는 기생충은 무엇일까요? 

Demodex 즉 모낭진드기는 진드기목 모낭충과 모낭충속에 속하는데,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모낭충은 각각의 종마다 다른 종숙주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에게 감염되는 종은 Demodex canis, 고양이에서 감염되는 종은 주로 Demodex cati입니다. 발병은 주로 개에서 많이 보고되며, 고양이에서는 드문 편입니다. 

 

Demodex는 정상세균총(normal fauna)의 하나로, 평소에 몸에 상재하는 기생충들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숙주의 면역이 떨어져 몸에 이상이 생기면 과잉증식을 하게 되고, 모낭충증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모낭진드기는 표피보다는 심부 쪽 모낭이나 피지선에 사는데, 어린 동물의 모낭이나 피지선이 발달하면서 모낭충이 거처를 확대하기 위해 모낭을 따라 더 깊숙이 표피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표면에 작용하는 살충제는 효과가 없을 확률이 있습니다.

 

그럼 Demodex canis의 생활사를 알아보겠습니다. Demodex canis는 숙주 안에서 생활사가 다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파는 직접 접촉에 의해 일어납니다. 대부분의 감염은 태어나서 어미개의 젖을 빨 때 피부 접촉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생후 몇 주 이내에 감염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감염된 후 병변은 주로 입, 눈 주이, 앞다리 등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2. Classification

모낭충증은 발생연령, 증상정도에 따라 각각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발생연령에 따라서 증상정도에 따라서
Juvenile-onset form Localized form
Adult-onset form Generalized form

Juvenile-onset form은 1살 미만의 강아지에서 전형적으로 발생하며, Adult-onset from은 주로 4살 이상의 강아지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주로 기저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Localized form은 6개 이하의 국소부위에 병변이 발생했을 경우로, 주로 얼굴과 앞다리쪽에 잘 발생하며, Generalized form은 훨씬 심각한 상태로 6개를 초과한 부위가 감염되었을 경우, 2개 이상의 발이 감염되거나 몸 전체적으로 감염되었을 경우를 말합니다. 

 

 

3. Clinical signs (임상 증상)

증상은 Localized Demodicosis와 Generalized Demodicosis로 나누어서 살펴보겠습니다.

 

Localized Demodicosis (국소형)

국소형은 주로 3-6개월의 1살 미만인 어린 강아지에서 잘 발생합니다. 증상은 주로 얼굴쪽과 앞다리에 많이 생기는데, 가벼운 홍반증상이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원형탈모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모낭충증 자체는 소양감이 없는게 특징이지만, 케이스에 따라 소양감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알러지나 2차 피부감염이 없는 한은 소양감은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증상은 수개월동안 지속될 수도 있는데 어린 개에서 감염됬을 경우 90%는 자연치유가 가능합니다.

 

Generlized Demodicosis (전신형)

전신형으로 나타나는 모낭충증은 개의 가장 심각한 피부 질병 중 하나로, 폐사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여러 부분에 국소적으로 시작해 전신으로 퍼지게 됩니다. 병변은 머리, 다리, 몸통 등 전신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모낭에 과도한 각화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지루성 변화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모낭염, 말초림프절염등이 생길수도 있으며, 2차적으로 농피증과 Staphylococcus spp. 감염증이 잘 걸립니다. 증상이 오랜시간 지속되어 만성으로 가게 되면 가피가 두껍게 생기고, 농피, 출혈, 종기 등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4. Diagnosis (진단)

진단은 병변부의 샘플을 채취해 현미경검사나 조직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채취 방법은 크게 skin scraping, trichography, skin biopsy가 있습니다.

Skin scraping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병변부를 출혈이 있을 때까지 블레이드로 긁어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빠르고 간편하지만, 만성적인 염증 소인이 있거나 태선화된 피부, 오래되거나 섬유화된 병변에서는 위음성이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스크래핑을 할 때 블레이드에 잘 달라붙게 하기 위해 블레이드에 오일을 묻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Trichography는 털을 뽑아서 현미경으로 방법이며, Skin biopsy는 모낭충증이 의심되지만 skin scraping과 trichography 두 개의 검사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실시할 수 있습니다. 

 

 

5. Treatment (치료)

국소적 모낭충증은 6~8주 정도에 자연치유되지만 증상의 정도가 심해졌다가 약해졌다가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가벼운 국부구충제나 benzoyl peroxide gel을 병변에 도포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신적 모낭충증의 경우는 치료하기가 힘든데, 만약 중성화하지 않은 암컷이라면 발정기 때 호르몬 변화로 면역력이 약해져 치료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중성화가 추천됩니다. 만약 기저질환이 있다면, juvenile-onset form의 경우 기저질환이 치료되면 자연스럽게 완치되지만, adult-onset form은 기저질환의 진단과 치료와 병행하여 모낭충증의 치료도 필요합니다. 

치료 약물로는 Amitraz(mitaban)과 Ivermetcin, Milbemycin 등이 있으며, 치료 중 계속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1~2달 마다 재검사를 통해 추가적인 치료가 더 필요한지 아니면 치료 방법의 변화가 필요한지 확인해야 합니다.